미국 유명배우 데니스 호퍼가 2010년 5월 29일, 전립선암 합병증으로 숨을 거뒀다.
1936년생으로, 74세였다.
그는 사람들에게 '지옥의 묵시록' '블루벨벳'의 개성 강한 조역으로 남아 있으나, 그의 생애 최고작은 제작, 감독, 각본, 주역 등 1인 4역을 한 '이지라이더'(Easy Rider, 1969년)이다.
그는 피터 폰다와 함께 만든 반항적인 이 작품으로 칸영화제 신인감독상을 받으며 1960년대 미국 영화계의 한 획을 그은 아메리칸 뉴시네마의 기수가 됐다.
이 영화는 오토바이를 타고 떠도는 두 명의 젊은이들을 통해 그때까지 부와 번영의 상징으로 탄탄한 반석을 다진 미국이 과연 건강한 국가인지 심각한 의문을 던졌다.
여전히 남성우월적이고 인종차별적인 시각이 팽배한 보수적인 사회분위기 속에 방랑하는 두 젊은이를 통해 진정한 자유가 존재하는 지를 묻고 있다.
체제 반동적인 젊은이들의 몸부림은 반전 운동과 함께 마약, 섹스, 록 음악 등 일탈로 표출된다.
이를 데니스 호퍼는 반듯한 겉모습 뒤에 가려진 미국의 또다른 얼굴로 제시했다.
그만큼 이 영화는 그렇지 않다고 믿는 사람들에게 불편했을 것이다.
결국 메이저의 후원을 받지 못해 제작진이 십시일반 걷어들인 40만 달러로 영화를 찍었고, 결과는 1,600만 달러라는 대박으로 나타났다.
데니스 호퍼의 문제 의식도 돋보였고, 당시 스튜디오 일변도 위주의 미국식 촬영 관행에서 벗어나 철저한 로케이션 위주의 로드무비로 찍은 점도 이채롭다.
특히 유럽 작가주의 영화에 매료된 데니스 호퍼는 이 작품에서 루이 부뉘엘처럼 인서트 컷을 활용한 교차 편집을 사용해 영상에서도 새로운 시도를 했다.
하지만 데뷔작으로 받은 과도한 기대가 부담이었는 지, 데니스 호퍼는 후속 연출작 '라스트 무비'가 실패하며 술과 마약에 쩔어 70년대를 흘려 보냈다.
훗날 '지욱의 묵시록' '블루벨벳' 등으로 재기한 뒤 감독보다 연기자로 주목을 받았다.
시와 그림, 조각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던 그는 5회나 결혼하는 등 굴곡이 많았다.
2009년 전립선암에 걸려 항암치료를 받았으나 이기지 못하고 이듬해 5월 순탄치 않았던 삶을 마감했다.
국내 출시된 4K 타이틀은 4K와 일반 블루레이 등 2장의 디스크로 구성됐다.
2160p UHD의 1.85 대 1 화면비를 지원하는 4K 타이틀은 화질이 그렇게 좋지 않다.
중경과 원경의 디테일이 떨어지고 지글거리는 현상도 나타난다.
음향은 DTS HD MA .51 채널을 지원한다.
소리 이동성이 괜찮아서 서라운드 효과가 잘 살아난다.
특히 스테픈울프의 유명한 주제가 'Born to be Wild'를 비롯해 버즈, 더 밴드, 지미 헨드릭스 등 각종 록음악을 깔끔하게 들려준다.
부록으로 데니스 호퍼의 음성해설과 제작과정이 한글 자막과 함께 들어 있다.
음성해설과 제작과정은 여러가지로 보고 들을게 많아 유용하다.
<블루레이 타이틀에서 순간 포착한 장면들>
'추천 DVD / 블루레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스텔라(4K 블루레이) (0) | 2020.03.14 |
---|---|
조커(4K 블루레이) (0) | 2020.02.01 |
007 카지노로얄(4K 블루레이) (6) | 2019.11.11 |
샤이닝(4K 블루레이) (14) | 2019.10.21 |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블루레이) (0) | 2019.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