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선우 감독은 흥행이라는 잣대를 들이대면 마이너리티다.
'꽃잎' '성공시대' 등 괜찮은 성적을 올린 작품도 있지만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경마장 가는 길' '화엄경' 등 다른 작품들은 그닥 좋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작품 성향도 마이너리티다.
소위 사회의 소외받은 계층이나 특이한 인물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바라보는 장 감독 특유의 성향은 그의 작품들을 범상치 않은 영화로 만들었다.
혹자는 재미있게 바라보기도 하지만 부담스러워 하는 사람들도 많다.
흥행과 사회 참여적 도구로서 영화를 활용하는 두 가지 방향을 조화시키는 것이 장 감독이 넘어야 할 과제다.
하지만 굳이 조화시켜야 하는 지는 의문이다.
우리 영화계의 다양성 측면에서 장 감독이나 김기덕, 양익준 같은 감독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야 우리 영화도 다양한 소재와 내용으로 내실을 기하고, 우리만의 색깔을 낼 수 있을 것이다.
흥행이 잘 된다고 코미디 일변도, 액션물 일변도로 흐르는 것은 돈벌이는 될 지 몰라도 영양가는 없다.
그런 점에서 보면 장 감독은 마이너리티가 아니다.
음으로 양으로 영화계 종사자들이나 애호가들이 그를 통해 다양성에 눈을 뜨고 신선한 충격을 받기 때문이다.
발전을 위해 자극만큼 좋은 약은 없다.
친한파 영화 평론가 토니 레인즈가 만든 다큐멘터리 '장선우 변주곡'(2001년)은 바로 장 감독을 속속들이 해부한 작품이다.
그의 작품 중심으로 장 감독의 작품 세계와 그의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한 시도는 국내에 이런 작품이 없었다는 점에서 참신하다.
내용 또한 알차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그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가감없이 드러냈다.
다만 제작 시점이 몇 해 전이다 보니 '성냥팔이...' 이후 장 감독의 행보가 나타나지 않는데, DVD 타이틀의 경우 '장선우의 11월'이라는 부록을 통해 어느 정도 보완했다.
장 감독에 관심이 있다면 좋은 교재가 될 만 한 작품이며, 그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장선우라는 인물을 흥미롭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해주는 작품이다.
4 대 3 풀스크린을 지원하는 DVD 영상은 화질이 그다지 좋지 않다.
어차피 뛰어난 영상을 기대한 작품이 아닌 만큼 화질은 크게 논할 게 못된다.
음향은 돌비디지털 스테레오를 지원하며, 부록으로 다양한 인물들의 인터뷰 등이 들어 있다.
<파워DVD로 DVD 타이틀에서 순간 포착한 장면들>
'볼 만한 DVD / 블루레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니발 (블루레이) (13) | 2009.10.28 |
---|---|
배드캅 (0) | 2009.10.17 |
페임 (블루레이) (0) | 2009.10.01 |
고교 얄개 (7) | 2009.09.20 |
미인도 (8) | 2009.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