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김병우 감독의 '더 테러 라이브'(2013)는 만화에 가까운 영화다.
라디오 생방송 중 걸려 온 한 통의 전화가 실제 마포대교를 동강내는 폭탄 테러로 이어지면서 범인과 방송기자가 생방송으로 벌이는 긴박한 대결을 다룬 내용이다.
군더더기 없이 초반부터 바로 전화가 걸려 오며 위기로 몰아가는 상황은 긴박하게 전개돼 긴장감을 끌어 올린다.
하지만 이 같은 긴장감은 리얼리티를 상실하며 후반에 급속도로 꺾어진다.
이 작품의 경우 중요한 것은 실감이다.
공상과학영화나 판타지가 아닌 드라마를 지향한 이상 얼마나 사실적이냐에 따라 몰입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텐데, 이 작품은 최대 핵심인 리얼리티를 놓쳤다.
흥미 위주로만 흐르다 보니 실제 방송 보도나 폭탄 테러의 사실성은 모두 오락성 아래 묻혀 버렸다.
어차피 리얼 다큐가 아니니 범인이 어떻게 폭탄을 그렇게 잘 다루며 어떤 식으로 폭탄 테러를 벌이는 지 일일이 설명할 필요는 없지만 개연성 있는 스릴러로 다가서려면 적어도 설득력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 영화는 개략적인 설명 조차 없이 무조건 파괴와 복수로만 건너 뛰니 설득력이 떨어진다.
테러범이 알 카에다나 과거 적군파같은 테러리스트라면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폭탄테러를 벌일 법 하다고 수긍이 가지만 일개 개인이 벌이는 행위 치고는 설명 없이 넘어 가기엔 너무 규모가 어마어마하고 의아하다.
여기에 영상도 어지럽고 답답하다.
아무래도 라디오 부스가 주무대고 야외 장면이라고 해봐야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든 영상이 대부분이다 보니 보여줄 수 있는 영상이 제한적이어서 공간이 답답하게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런데 감독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심한 들고찍기를 시도했다.
여러 대의 카메라를 동원해 다각도로 영상에 변화를 주었다고 했지만 지나치게 클로즈업을 남발하고 너무 흔들어 대서 어지러울 지경이다.
작은 TV 화면이라면 모르겠지만 극장의 대형 스크린을 마치 TV 화면처럼 여기고 흔들어 대는 영상은 고문에 가깝다.
다만 위력적인 음향은 현장감을 잘 살렸다.
상영 시간 내내 눈에 들어오는 것은 하정우 밖에 없다.
적지 않은 분량의 대사를 끊임없이 읊어대며 연기한 하정우는 방송 기자처럼 보이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역력하다.
시청률 지상주의로 흐르는 방송의 선정성을 문제 삼은 메시지와 진정성이 보이지 않은 위정자들의 권위주의적인 모습을 꼬집은 점은 고무적이다.
하지만 현실감이 떨어지고 주제의식의 깊이가 얕으며 피상적으로 접근하다보니 공감대를 끌어내기에는 역부족인 작품이다.
그렇다 보니 이 작품 역시 방송의 선정성을 흥행 코드로만 활용하고 그 이상 문제 의식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에서 동류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관객도 제법 들고, 인터넷에서는 봉준호의 '설국열차'와 비교해 설전이 벌어지는 등 화제가 되고 있다는데 개인적으로는 그럴 만한 작품인 지 의문이다.
라디오 생방송 중 걸려 온 한 통의 전화가 실제 마포대교를 동강내는 폭탄 테러로 이어지면서 범인과 방송기자가 생방송으로 벌이는 긴박한 대결을 다룬 내용이다.
군더더기 없이 초반부터 바로 전화가 걸려 오며 위기로 몰아가는 상황은 긴박하게 전개돼 긴장감을 끌어 올린다.
하지만 이 같은 긴장감은 리얼리티를 상실하며 후반에 급속도로 꺾어진다.
이 작품의 경우 중요한 것은 실감이다.
공상과학영화나 판타지가 아닌 드라마를 지향한 이상 얼마나 사실적이냐에 따라 몰입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텐데, 이 작품은 최대 핵심인 리얼리티를 놓쳤다.
흥미 위주로만 흐르다 보니 실제 방송 보도나 폭탄 테러의 사실성은 모두 오락성 아래 묻혀 버렸다.
어차피 리얼 다큐가 아니니 범인이 어떻게 폭탄을 그렇게 잘 다루며 어떤 식으로 폭탄 테러를 벌이는 지 일일이 설명할 필요는 없지만 개연성 있는 스릴러로 다가서려면 적어도 설득력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 영화는 개략적인 설명 조차 없이 무조건 파괴와 복수로만 건너 뛰니 설득력이 떨어진다.
테러범이 알 카에다나 과거 적군파같은 테러리스트라면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폭탄테러를 벌일 법 하다고 수긍이 가지만 일개 개인이 벌이는 행위 치고는 설명 없이 넘어 가기엔 너무 규모가 어마어마하고 의아하다.
여기에 영상도 어지럽고 답답하다.
아무래도 라디오 부스가 주무대고 야외 장면이라고 해봐야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든 영상이 대부분이다 보니 보여줄 수 있는 영상이 제한적이어서 공간이 답답하게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런데 감독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심한 들고찍기를 시도했다.
여러 대의 카메라를 동원해 다각도로 영상에 변화를 주었다고 했지만 지나치게 클로즈업을 남발하고 너무 흔들어 대서 어지러울 지경이다.
작은 TV 화면이라면 모르겠지만 극장의 대형 스크린을 마치 TV 화면처럼 여기고 흔들어 대는 영상은 고문에 가깝다.
다만 위력적인 음향은 현장감을 잘 살렸다.
상영 시간 내내 눈에 들어오는 것은 하정우 밖에 없다.
적지 않은 분량의 대사를 끊임없이 읊어대며 연기한 하정우는 방송 기자처럼 보이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역력하다.
시청률 지상주의로 흐르는 방송의 선정성을 문제 삼은 메시지와 진정성이 보이지 않은 위정자들의 권위주의적인 모습을 꼬집은 점은 고무적이다.
하지만 현실감이 떨어지고 주제의식의 깊이가 얕으며 피상적으로 접근하다보니 공감대를 끌어내기에는 역부족인 작품이다.
그렇다 보니 이 작품 역시 방송의 선정성을 흥행 코드로만 활용하고 그 이상 문제 의식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에서 동류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관객도 제법 들고, 인터넷에서는 봉준호의 '설국열차'와 비교해 설전이 벌어지는 등 화제가 되고 있다는데 개인적으로는 그럴 만한 작품인 지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