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 70년대 영화들은 국내 개봉 제목을 참 잘 지었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은 직역하거나 영어 제목을 우리 말로 붙이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예전에는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내일을 향해 쏴라' '석양의 무법자' 등 분위기에 맞는 의역이 돋보였다.
'작은 사랑의 멜로디'(Melody, 1971년)도 마찬가지다.
여주인공 이름을 딴 원제와 달리 국내 개봉 제목은 영화의 분위기가 함축적으로 잘 살아있다.
당시 대부분 27세의 젊은이들이 만든 이 영화는 흔히 영국판 '소나기'에 묘사된다.
열 살짜리 소년 소녀들이 사랑에 눈을 떠 결혼하는 내용 때문이다.
그러나 황순원의 소설과 달리 영화는 시종일관 유쾌하게 진행된다.
두 아이의 사랑은 풋풋하며 순수하고 그들이 벌이는 소동은 때론 사뭇 즐겁기까지 하다.
특히 이 작품은 60년대 말, 70년대 젊은이들이 가졌던 시대 반항적인 면모가 곳곳에 유감없이 투영됐다.
어린 아이들이 학교에서 거리낌없이 담배를 피고 카드를 치며, 항상 폭탄을 만들 궁리를 한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그당시 영국은 군사 문화의 잔재를 연상케 하는 소년단과 개성을 억누르는 교복, 호기심을 일체 인정않는 암기식 교육으로 학생들을 억눌렀기 때문이다.
핑크 플로이드의 'The Wall'과 흡사한 분위기다.
영화 속에 이런 시대상을 녹여낼 수 있었던 것은 재능있는 신인이었던 제작진 덕분이었다.
대본은 '벅시 말론' '버디' '핑크 플로이드의 wall' '미드나이트 익스프레스' 등을 만든 앨런 파커 감독이었고, 제작은 '벅시 말론' '버디' '미션' '로컬 히어로' '킬링 필드' 등을 만든 데이비드 퍼트넘, 감독은 인도 출신 워리스 후세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영화를 빛나게 만든 것은 OST를 맡은 팝그룹 비지스였다.
유명한 주제가 'Melody Fair'를 비롯해 영화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First of May' 'In the Morning' 등이 싱그럽다.
예전 고교 시절 성음에서 출반된 OST 카세트테이프를 지금도 갖고 있을 정도로 좋은 곡들이 많다.
더불어 우리들의 두 주인공 마크 레스터와 트레이시 하이드의 풋풋한 연기도 좋았다.
어린 시절을 그립게 만드는 앙증맞고 발칙하고 유쾌한 명작이다.
국내에 출시된 DVD 타이틀은 16 대 9 애너모픽 와이드 스크린을 지원한다.
화질은 리마스터링을 거치지 않은 탓에 좋지 않다.
윤곽선은 가차없이 뭉개지며, 스크래치와 플리커링 등 잡티가 난무하고 색감도 뿌옇다.
무려 40년 전 작품이니 이해해야 할 듯.
그래도 이 작품을 다시 볼 수 있다는게 어디인가.
음향은 돌비디지털 2.0 채널을 지원하며 부록은 전무하다.
<파워DVD로 순간포착한 DVD 타이틀 장면들>
'Melody fair' - Bee Gees
'추천 DVD / 블루레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드 투 퍼디션 (블루레이) (8) | 2010.07.09 |
---|---|
속 황야의 무법자(블루레이) (8) | 2010.07.01 |
누들로드 (블루레이) (0) | 2010.05.28 |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 (4) | 2010.04.24 |
디스 이즈 잇 (블루레이) (14) | 2010.02.07 |